[에세이코너] 관계
[에세이코너] 관계
  • 김창식 수필가
  • 승인 2011.12.07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남엔 헤어짐이 따르기 마련이며 그것이 오히려 삶을 다양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헤어짐에는 그럴싸한 이유도 있고 필유곡절 없는 결별도 있지만, 공통적인 것은 한번 헤어지면 여간해선 만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헤어진 사람의 안부가 궁금하기도 하다. 오래 소식 없는 사람을 만나느니 모른 체 지내는 편이 낫다고 말하는 이도 있다. 수필가 피천득 선생도 '인연'에서 '그리워하는 데도 한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고 썼다. 삶의 국면인 헤어짐과 그리움, 재회의 이치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좋은 인상으로 남아 있는 상대방이 변하지 않았기를 바라는 기대심리가 있어서이고, 나중 만났을 때 뒤따르게 마련인 환멸을 두려워하는 때문일 것이다. 


 간과한 것이 있다. 상대방이 변한 것 이상으로 내가 변했음을. 상대는 마음속에 20대 초반의 풋풋한 젊음으로 살아 있는데 나는 중년을 지나 시나브로 노년으로 편입되려 하는 것을 깜박 잊었다. '열정의 강도'와 '그리움의 순도'는 세월이 흐르면 퇴색하기 마련인 것을 눈치 채지 못하고 표상(表象)에 집착한 것이다. 애틋하고 아름다운 것일지라도 그것은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한다. 서로가 변한 모습을 대면했을 때 끼어드는 환멸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생각해 보면 환멸이야말로 각성으로 향하는 첫걸음이 아닌가. 큰 깨달음은 미망에서 헤어 나오게 하고 관계를 구체화 해준다. 그렇게 해서 얼마간 실체에 접근하기도 한다. 그것은 아마도 고통스러운 여정이 될 터이지만.

 세월이 흐르며 나 또한 그립고 고마운 사람들과 '헤어짐의 약속' 없이 태연하게 헤어져 왔다. 헤어짐을 겪지 않으면 그것이 무슨 성장의 걸림돌이라도 되는 양. 이제 시린 가슴으로 느낀다. 더 이상 만나지 못하는 관계는 '죽은 관계'와 다름없음을. 죽은 자와는 말할 수 없고 만날 수도 없다. 우리는 '차디찬 곳'에 누워 있는 것이 아니다. 정체된 관계의 국면 전환을 위한 돌파가 필요하다. 실망을 미리 두려워하거나 아름다운 기억만을 간직하기 위해 만나는 것을 꺼려하는 것은 삶에 대한 진지함과 경건함이 결여된 태도일 수도 있다. 만나서 서로 변한 모습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중단된 관계를 진전 시켜야 한다. 환멸의 아픔을 넘어 서로를 보듬고 껴안아 줄 수 있을 때 참답고 성숙한 관계의 꽃이 핀다. 사람과 사람 사이는 관계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해야 한다. 지속적으로 유지‧발전되는 관계야 말로 참다운 관계다.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다시 보았다. 책장 정리를 하다 우연히 눈길이 머문 것이다. 금발의 곱슬머리 왕자는 나이를 먹지 않았다. 나무 그루터기가 삐져나온 별 위에 서서 여전히 작은 칼을 쥐고 어깨에 별이 달린 초록색 망토를 걸친 채 나의 무심함을 탓하듯 슬픈 눈으로 쳐다보고 있었다. 책장을 넘기며 보석 같은 여러 이미지 중 사막의 여우가 어린왕자에게 한 말에 숨은 뜻이 적지 않음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길들인다는 것은 너무 잘 잊고 있는 것이지만, 그건 '관계를 만든다'는 뜻이야…. 너의 장미꽃을 그토록 소중하게 만드는 건 꽃을 위해 네가 소비한 바로 그 시간 때문이야…. 너는 네가 길들인 것에 언제까지나 책임이 있게 되는 거지."

 나는 전에 이 책을 읽었으나 '길들임'의 본질을 수 십 년이 지나서 다시 천착하게 되었다. 그것의 속내는 평상시 '내 형편이 좋을 때 상대방에게 시간을 할애하며 공을 들인다'는 정도의 단순한 것이 아니었다. 주위 형편이 뜻과 같지 않다 해서 나와 관계하는 소중한 이들에 대한 책임을 어찌 저버릴 것인가. 그들에 대한 책임은 '지속적으로 언제나 있는(恒存)' 것이다. '길들임'의 참다운 뜻은 삶이 공허하게 느껴지고 세상일이 귀찮게 여겨질 때에도 상대방에 대한 마음 씀과 수고로움을 아끼지 말라는 것이었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대방에 대한 믿음의 끈을 놓지 말라는 교훈이었으며 이를 위해선 때로 자기희생의 자세도 필요하다는 엄격한 가르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