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점유율 4년 만에 50%대 회복
한국영화 점유율 4년 만에 50%대 회복
  • 김희연 기자
  • 승인 2012.01.19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종병기 활'. '써니' 등이 흥행 이끌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는 1월 19일, 2011년도 한국영화 산업 결산 결과와 한국영화 재도약 기반 마련을 위한 2012년도 신규 영화진흥 사업 등을 발표했다. 

▲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최종병기 활', '써니', '완득이', '조선명탐정'
한국영화 산업 결산 결과(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 2011년 한국영화 점유율은 51.9%를 기록하여 2007년 이후 40%대에 머물던 점유율이 4년 만에 다시 50%대로 회복됐다. 이는 한국영화 산업이 그동안의 침체기에서 벗어나는 청신호라고 해석되고 있다.   

* 최근 5년간 한국영화/외국영화 관객 수 및 점유율 추이

구분 한국영화 외국영화 총 관객 수(만 명)
관객 수(만 명) 점유율 관객 수(만 명) 점유율
2007 7,939 50.0% 7,938 50.0% 15,877
2008 6,354 42.1% 8,729 57.9% 15,083
2009 7,647 48.8% 8,032 51.2% 15,679
2010 6,829 46.5% 7,851 53.5% 14,680
2011 8,209 51.9% 7,689 48.1% 15,979

2010년에 비해 관객 400만 명 이상을 동원한 영화의 수(‘10년 2편 → ’11년 5편)가 크게 증가하면서 한국영화 점유율을 끌어 올리는 동인이 되었는데, 이러한 한국영화의 선전에는 티켓파워층의 눈높이에 맞춘 참신한 소재와 탄탄한 스토리로 무장한 중형 영화들의 흥행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400만 명 이상을 동원한 한국 영화 : 최종병기 활(747만), 써니(736만), 완득이(530만), 조선명탐정(478만), 도가니(466만)

2011년 극장 관객 수는 15,979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8.8%가 증가했고, 총 매출액은 12,3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6.9%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영화인 교육 훈련 인센티브제도’, ‘국제 공동제작 인센티브 사업’ 추진
한편 한국영화의 완성작 해외 매출 총액이 1,546만 달러(한화 약 178억 원)를 기록, 전년 대비 13.8%가 증가하였으며, 수출된 한국영화의 수도 358편으로 전년 대비 82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지속적으로 감소해 오던 한국영화의 완성작 수출액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 

문화체육관광부는 2011년 우리나라 영화 산업에 나타난 긍정적 성과들을 더욱 발전시키기고 보다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2012년 신규 사업으로 ‘현장영화인 교육 훈련 인센티브제도’와 ‘국제 공동제작 인센티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장영화인 교육 훈련 인센티브제도’는 영화 산업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영화 스태프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으로서, 현장 영화인이 작품 제작에 참여하지 않는 기간 동안 전문 교육을 받으면서 실업 급여 성격의 교육 훈련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

이 사업은 한국영화산업노조와 70여 개의 제작사가 참여하여 구성된 (사)영화산업고용복지위원회(위원장: 최진욱)를 통해서 추진되며, 2012년 사업비는 총 10억 원(영화발전기금 5억 원, 제작사 5억 원)으로 연간 약 800여 명의 현장 영화 스태프가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 공동제작 인센티브 사업’은 글로벌 콘텐츠 개발과 전략적인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국제 공동제작 영화에 대해 심사를 거쳐 제작비의 일부(1편당 5억 원 이내)를 지원하는 제도다.

* 외국자본이 순 제작비의 20% 이상 출자되고, 순 제작비 10억 원 이상을 국내에서 집행한 영화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해외매출 총액 24,396 21,037 14,122 13,583 15,463
전년 대비 증감률 -0.5% -13.8% -32.9% -3.8% 13.8%
수출 영화 수 321편 361편 251편 276편 358편

2012년도 사업비는 총 20억 원으로,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사업이 한국영화 제작자본 조달방식의 다변화와 글로벌 제작네트워크의 확충에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