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영암 방대형 고분 축조 기법 밝혀내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영암 방대형 고분 축조 기법 밝혀내
  • 권지윤 기자
  • 승인 2013.06.20 12: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일 오후 2시 영암 옥야리 방대형 고분 발굴 현장서 공개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전라남도 영암군 옥야리 방대형 고분(전라남도 기념물 제84호)의 봉분 축조 방식 규명을 위한 정밀 발굴조사 성과를 20일 오후 2시 발굴 현장에서 공개한다.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 전경

영암 옥야리 방대형 고분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2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했다. 기존의 봉분 평면 조사에서 회색 점토 덩어리로 봉분을 구획한 흔적은 일부 확인되었으나, 탐색 트렌치(길쭉하게 판 홈)를 이용한 제한된 조사로 인해 봉분 축조 방식을 제대로 밝히기 어려웠다.

이에 봉분의 축조 공정과 토목 기술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한 추가조사의 필요성이 판단돼 올해 여러 위치와 방향으로 둑과 트렌치를 설치해 정밀 발굴조사를 했다.

이번 조사에서 한 변의 길이가 약 30m, 높이가 약 4m인 높고 큰 방대형 봉분을 견고하게 축조하기 위한 과학적인 고대 고분 축조 기술의 전모를 밝혀냈다.

회색 점토 덩어리로 방사상·동심원상으로 구획한 공간에, 고분 주변 도랑을 만들면서 파낸 흙으로 단단하게 결구하며 쌓아 올리는 방식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선진화된 기술이었다.

크기가 10~30cm인 회색 점토 덩어리를 차곡차곡 위로 쌓아 방사선 형태로 5개의 구획선을 설치하여 봉분의 종(縱)방향 구획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동심원상으로 2개의 구획선을 교차되게 설정해 작업 구간을 나눈 다음, 봉분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흙을 쌓으면서 봉분을 조성했다.

이번에 봉분 구획에 사용된 점토 덩어리는 우리나라에서 4세기 중후반에 조성된 나주 장동리 고분을 시작으로, 5세기 후엽~6세기 중엽경의 영암·나주·무안 등 영산강 유역뿐만 아니라 고성·부산 등 가야와 신라 문화권의 고분에서 확인됐다.

일본에서는 토괴를 구획 재료로 활용해 봉분을 분할하여 정교하게 쌓는 방식이 이번의 영암 옥야리 방대형 고분에 비해 1세기 정도 후인 6세기 중엽경의 일본 오사카의 쿠라즈카고분에서 확인된 바가 있으므로, 5~6세기 고대 고분 축조 기술을 통해 고대 한일의 문화 흐름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