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기획]‘아리랑’의 어원과 그 상징성
[테마기획]‘아리랑’의 어원과 그 상징성
  • 김승국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상임부회장/시인
  • 승인 2014.11.20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크고 높은 고개에서 유래된 아리랑’이 갖는 상징성은 이별과 기다림, 그리고 한(恨)

 

▲지난 10월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대규모로 펼쳐진 서울아리랑페스티벌 공식 포스터의 일부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아리랑이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지 2년이 됐다.
아직도 우리에게 아리랑은 여전히 우리민족의 ‘恨’(한)의 정서를 상징한다.
수없이 듣고 부르기도 하는 ‘아리랑’이지만 아리랑의 뜻을 정확하게 안다고 할 수도 없다.
요사이는 아리랑을 슬픔만이 아닌 즐거운, 희망의 아리랑으로 승화시키고자 하는 여러 행사와 움직임도 많다. 이런 가운데 김승국 한국문화예술회관 연합회 상임부회장의 아리랑에 대한 해석이 눈길을 끈다. 그를 통해 아리랑의 근원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기로 하자.   -편집자 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가 ‘아리랑’이라는 것에는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아리랑’은 외국인들에게도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로 잘 알려져 있다.

 

▲김승국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상임부회장/시인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이와 유사한 음성이 후렴에 들어있는 민요의 총칭으로 남북을 통틀어 약 60여종 3천6백여 수에 이른다고 한다. 대표적인 ‘아리랑’으로는 평안도의 '서도 아리랑', 강원도의 '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이 있고 함경도의 '함경도 아리랑', '단천 아리랑', '어랑타령'이 있으며 경상도의 '밀양 아리랑', 전라도의 '진도 아리랑', 경기도의 '긴 아리랑' 등이 있다. 그밖에 지역마다 각기 다른 ‘아리랑’이 있다.

그러나 외국인이 우리들에게 ‘아리랑’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설명해줄 수 있는 답을 우리는 갖고 있지 못하다. 일반 대중들은 그렇다 하더라도 전통음악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라면 이것은 참으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아리랑’의 어원에 대한 이론이 워낙 많고 정설로 굳어진 것이 없는지라 답답한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아리랑’의 어원에 대한 대표적인 설은 다음과 같으며, 각기 제 나름대로의 주장이 있지만 내가 보기에는 무리한 해석이 많은 듯 싶다.

1) 南師古(1509-1571)의 亞裡(아리)嶺설
2) 이승훈(1790)의 啞魯聾(아로롱)설
3) 황현(1900)의 阿里娘(‘아리랑’)설
4) 김지연(1930)의 閼英(알영)설
5) 권상노(1941)의 啞而聾설
6) 이병도(1961)의 樂浪(아라)설.
7) 양주동(1962)의 아리(明)嶺설.
8) 원훈의(1977)의 아리다(疼痛)설
9) 임동권(1980)의 後斂(助興)설
10) 정선 설화(1987)에서의 아리오(알리오)설
11) 김연갑(1988)의 메아리('메'의 탈락)설
12) 박민일(1988)의 啞剌唎(아라리)-阿賴耶(아라야)설
13) 정호완(1991)의 아리다-쓰리다(‘아리랑’<알?>-쓰리랑<슬?>)설
14) 정익섭의 얄리얄리얄라리설(국어국문학사전)
15) 김덕장의 我離娘(나는 아내를 여의었다)설
16) 남도산의 我耳聾(나는 귀가 먹었다)설
17) 강대호의 我難離(나는 가정을 떠나기가 어렵다)설
19) 일인 학자의 아미일영(俄-美-日-英을 경계하자)설
20) 최재억의 卵郞(卵娘)설
21) 김재수의 阿娘(아랑 전설)설
22) 이능화의 兒限偉(상랑문의 아랑위 포랑동에서 유래)설
23) 이규태의 아린(여진어 차용)설
24) 서정범의 알(卵)아리요설
25) 김승국의 阿利嶺(크고 높은 고개)설

그러나 ‘아리랑’의 어원에 대하여서는 워낙 많은 이론들이 있기 때문에 무엇이 정설이라고 분명히 할 수는 없지만 국악인이라면 최소한 ‘아리랑’이란 이러 이러한 뜻을 갖고 있으며 ‘아리랑’이 갖는 상징성은 이러 이러하다라고 설명해 줄 수는 있어야 한다.

 

▲지난 10월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대규모로 펼쳐진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전국아리랑경연대회' 한 장면.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지금까지 초ㆍ중등 학생들과 만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면 유감스럽게도 대답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었다. 이것은 우리의 초?중등교육에 허점이 있었다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나는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들이 국제교류 현장에서 외국인들로부터 똑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 당황하지 않고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갖는 상징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겠다고 생각하여, 사람들과 만날 때 마다 내 나름대로 연구하였던 ‘아리랑’의 어원과 그 상징성에 대하여 설명해 주었다.

 

▲ 문체부와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아리랑 세계화사업의 일환으로, ‘마음을 이어주는 세계인의 노래, 아리랑 4집’ 음반을 지난 2월에 발매했다.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물론 내가 전문적으로 어원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자가 아니므로 학문적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아리랑’에 대하여 어차피 굳어진 정설이 없고 내 나름대로의 설명의 근거가 있는 만큼 나는 감히 나의 주장을 피력해왔다.

내가 연구하고 생각해온 ‘아리랑’의 어원과 상징성은 다음과 같다.
‘아리랑’이라는 낱말은 각 지방 ‘아리랑’의 후렴 구로 자주 등장하는데 그 낱말의 구성은 진도 ‘아리랑’의 가사(아리 아리 랑 쓰리 쓰리 랑 아라리가 났네)에 나타난 것처럼 ‘아리’+‘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아리’라는 말은 무슨 뜻이고 ‘랑’은 무슨 뜻을 갖고 있는 것일까?

그런데 아래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 을 보면 수도 서울을 가르고 흘러가는 오늘날의 ‘한강(漢江)’을 ‘아리수(阿利水)’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 殘不服義, 敢出迎戰, 王威赫怒, 渡阿利水, 遣刺迫城, ......
(....., 잔불복의, 감출영전, 왕위혁노, 도아리수, 견자박성, ......)
-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碑文) 2면 3행
釋文 : ......, 백잔은 의에 복종하지 않고 감히 나와 영전했다. 왕은 위엄으로 대로하여 아리수를 건너 선두부대를 보내 성으로 진격했다.

물론 아리수(阿利水)라는 명칭의 구성도 ‘아리’+‘수’일 것이다. 지금과는 달리 옛날에는 강(江)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수(水)라고 불렀으니 ‘아리’+‘수’가 틀림없을 것이다. 한강도 옛날에는 한수(漢水)라고 불렀다. 그래서 요즘도 한수 이북, 한수 이남이라는 말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광개토대왕비에 나타난 ‘아리(阿利)’라는 한자 자체가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순수한 우리말 음(音)을 한자로 차용하여 쓴 것일 것이다. 그렇다면 ‘아리수(阿利水)’의 ‘아리(阿利)’라는 우리말은 무슨 뜻을 가진 것일까? 또한 ‘아리’라는 낱말은 한강의 ‘한(漢)’과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을까?

 

▲지난 10월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대규모로 펼쳐진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 프로그램인' 전국아리랑경연대회' 현장 모습.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오늘날 한강의 한자표기 ‘한(漢)’은 ‘큰’, 혹은 ‘위대한’이란 뜻으로 쓰인 순수 한국 고대어 ‘한’의 차음(借音) 표기라는 설이 지배적이며 중국에 있는 강인 한수(漢水)의 이름을 차용한 것이다라는 설도 있다. 또한 한강 양안에 살던 고대인들은 한반도에서 원시 농경단계에 먼저 들어간 선진부족이었으며 '한'부족으로 불렸고 이들의 일부가 고조선 건국에 참가했다고 한다.

이 ‘한'부족이 그 후 한문자(漢文字)로 韓, 桓 등 여러 글자로 차음 표기됐다고 한다. 한강의 ‘한(漢)’을 우리의 고유한 말인 ‘한’의 한자 차용어라는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한’과 ‘아리’는 같은 뜻이거나 비슷한 뜻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아리’는 ‘크다’는 뜻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아리랑’의 ‘랑’은 어떤 뜻을 지닌 말일까? ‘아리랑’ 뒤에 항상 등장하는 낱말이 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고개라는 낱말이다. 왜 각 지방의 ‘아리랑’ 다음에는 반드시 고개라는 낱말이 따라 나올까? ‘랑’과 ‘고개’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어느 날 여행 중 대관령 고개를 우연히 넘다가 나의 뇌리를 치는 것이 있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우리말에는 같은 뜻의 형태가 겹쳐 글에 군살을 끼게 만드는 비경제적 동의중복(同意重複) 표현, 즉 겹말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어가 많다보니 생긴 현상이다.

 

▲지난 10월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대규모로 펼쳐진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의 한 프로그램인' 뽐내라 아리랑' 행사의 한 장면.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예를 들어 추풍령고개(‘령’과 ‘고개’ 중복), 동해바다(‘해’와 ‘바다’ 중복), 약숫물(‘수’와 ‘물’의 중복), 무궁화꽃(‘화’와 ‘꽃’ 중복), 농번기철(‘기’와 ‘철’), 황토흙(‘토’와 ‘흙’ 중복), 초가집(‘가’와 ‘집’ 중복), 역전앞(‘전’과 ‘앞’ 중복), 족발(‘족’과 ‘발’ 중복), 고목나무(‘목’과 ‘나무’ 중복), 단발머리(‘발’과 ‘머리’ 중복) 등과 같은 동의 반복 현상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추풍령의 ‘령(嶺)’은 고개‘령(嶺)’인데 그 뒤에 또 고개라는 같은 뜻의 우리말을 습관적으로 붙여 말하고 있듯이 ‘아리랑 고개’의 ‘랑’은 고개 ‘령(嶺)’의 변음(變音)으로 ‘랑’ 다음에 고개를 습관적으로 붙여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다시 말해 ‘아리랑’의 ‘랑’을 고개 ‘령(嶺)’의 변음으로 본다면 자연스럽게 ‘아리랑 고개’는 ‘크고 높은 고개’로 해석되는 것이다.

옛날 우리 조상들의 마을에는 임을 보내고 가신 임을 기다리는 고개가 어디에나 있었다. 고개는 이별과 기다림의 의미를 지닌 특별한 장소였다. 각 지방에 퍼져있는 ‘아리랑’의 가사를 보면 떠나는 임을 아쉬워하고, 돌아오지 않는 임을 원망하고 목 놓아 기다리는 한(恨)의 정서가 군데 군데 잘 배어져 있다.

정리해 본다면 ‘아리랑’이라는 낱말은 ‘아리’+‘랑’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아리’는 ‘크고 높다’는 뜻을 가진 우리의 순수 고대어이며 ‘랑’은 고개 ‘령(嶺)’의 변음으로서, ‘아리랑’은 ‘크고 높은 고개’라는 뜻이다.

고개라는 것이 우리 조상들에게 이별과 기다림의 장소였으므로 ‘아리랑’이 갖는 상징성은 이별과 기다림, 그리고 한(恨)이다. 그러기에 우리나라 각 지역에 퍼져있는 ‘아리랑’은 그 곡조와 가사가 서로 달라도 공통적으로 이별과 기다림을 노래하고 있다.

나의 이러한 주장에 오류가 있을지 모른다. 허나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갖는 상징성에 대하여 한번쯤은 심각하게 생각해보아야 한다. 한국사람이라면 어린 자식들이나 혹은 외국인들이 물었을 때 옹색하나마 나름대로 답변할 말은 준비해두었으면 하는 소박한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