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극협, "공연예술센터 보이콧 하겠다"
서울연극협, "공연예술센터 보이콧 하겠다"
  • 박세나 기자
  • 승인 2014.12.22 1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융성과 대학로' 공개토론회서 기존 대관 보이콧 등 공동대응 결의

서울연극협회(회장 박장렬)는 지난 19일 대학로 스타시티 빌딩 7층 예술공간 SM에서 '문화융성과 대학로'를 주제로 공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연극연출가협회, 한국연극배우협회, 한국희곡작가협회, 대학로포럼의 공동 주최로 마련됐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지난달 14일 한국공연예술센터의 2015년 정기대관 심의결과에서 서울연극제가 탈락한 이후,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극계 내부적으로 공동 대응책을 모색하자는 취지에서 시행됐다.

▲ 공개토론회 현장

서울연극제지키기 시민운동본부의 공동대표인 김태수 연극연출가(극단 완자무늬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공개토론회는 원로연극평론가 이태주의 모두발언을 시작으로 공연과 이론을 위한 모임 대표 오세곤, 한국연극연출가협회 회장 김성노, 서울연극협회 정책분과장 이동준이 차례로 한국공연예술센터-한국문화예술위원회-서울연극제 등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후 한국연극배우협회 부회장 기주봉, 극단 유목민 대표 손정우, 한국희곡작가협회 이사장 홍창수, 서울연극협회 사무국장 임선빈이 자유토론 및 청중으로부터 질의응답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한국공연예술센터의 역할 정립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제한 오세곤 대표는 “공공극장의 권력화”를 우려하면서 “시설이 좋은 극장이 충분치 못한 상황에서라면 선택과 집중보다는 가능한 많은 단체들에 기회를 부여해 예술적 가능성을 지닌 작품을 살리고 취약한 기획력에 도움을 주는 호의적인 상황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또 "하지만 이번 사태로 드러난 것처럼 한국공연예술센터(이후 ‘센터’)가 공지한 대관 결과 목록에서 제외된 1월, 8월, 10월 등은 센터가 자체 기획한 공연 또는 축제에 할당됐으며, 더욱이 42일이라는 최장기간 대관된 연극은 기획력이 일반 극단과 비교할 수 없는 기획사의 공연이다. 뮤지컬 또한 대학로의 대표적인 상업 공연 기획사의 작품인 것으로 미루어볼 때, 공공극장으로서 센터의 역할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피력했다.

‘문화융성시대 연극지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김성노 회장은  ”1972년 ‘한 겨레의 운명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힘은 민족의 예술적, 문화적 창의력이다’라는 기치아래 설립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현장예술인에 대한 지원보다는 국가 시책의 뒷바라지에 더욱 관심’을 쏟으며 근본적인 변화를 바라는 예술인들의 목소리에 200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 재탄생”했다. 이후 10여년 간 활발한 지원정책을 펼쳐왔으나 △창작 활성화 사후지원 제도의 철폐 △대관료지원사업의 부당성 △지원금액의 비현실성 등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동준 서울연극협회 정책분과장은 ‘서울연극제의 바람직한 위상과 역할’에 대해 다뤘다. 그는 “35년 역사의 서울연극제를 통해 860여 극단, 2만 1천여 명의 참여 연극인이 8천 7백여 회의 공연을 100만명이 넘는 관객들과 함께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서울연극제가 지니는 전통성과 우리 예술사에 기록될 소중한 가치는 충분”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창작극 개발의 지속성 △관객중심의 축제로의 지향성 △공공제작극장과의 작품 평가 기준 △서울연극협회 집행부와의 독립성 △재원조성에 대한 방안 강구 등을 꼽았다.

주제발표 이후 진행된 자유토론에서는 서울연극제뿐 아니라 연극계 전반과 관련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대한 향후 대응 방안 등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됐으며 주요 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연극제지키기 시민운동본부의 활동은 12월 31일자로 종료한다. 2015년 1월 1일부로‘서울연극제 35+1 준비위원회 (가칭)’을 발족시키고 서울연극협회뿐 아니라 한국연극연출가협회, 한국연극배우협회, 한국희곡작가협회 등 연극계 전체가 연대해 공동 행동을 취한다.

둘째, 2014년 12월 30일까지 서울연극지키기 시민운동본부의 공식 요청 사항에 대한 한국공연예술센터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공식 표명이 없을 시 모든 협상은 결렬된 것으로 간주하고, 대관이 이미 확정된 극단과 연대해 한국공연예술센터에 대한 보이콧 등을 실시한다.

셋째, 연극인 연대 위원회(가칭)를 통해 한국공연예술센터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향후 문화체육관광부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한다.

한편, 이날 공개토론회에는 발제 및 자유토론 참여자 10여 명을 비롯해 40여 명의 연극인들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