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총리실· 문체부 등과 ‘한강협력회의’ 개최
서울시, 총리실· 문체부 등과 ‘한강협력회의’ 개최
  • 강다연 기자
  • 승인 2015.08.24 22: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자원화가 '제2의 한강의 기적’"

서울시는 관계부처와 24(월) 오전 9:30,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한강협력회의’를 개최,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 자원화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관광객이 쇼핑만 하고 가는 대신, 한강에서 문화와 레저 즐길 수 있도록"

▲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관련 서울시장과 관계부처 회동.

경제부총리, 서울시장, 문체부 장관, 국토부1차관, 환경부 차관, 국토연· 문광연 원장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관광 등 서비스산업 육성이 시급하다. 마침 한류의 인기 속에 중국 등 인접국의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서비스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기회가 열렸다”고 전제하고 “한강은 광복 이후 산업화와 민주화의 과정을 고스란히 담은 우리 근대사의 상징이며, 고수부지와 수량 등 자연환경 측면에서도 세계 수준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더 많은 관광객과 우리 국민이 한강을 찾아와서 보고, 즐기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문화, 유통, 스포츠 및 레저, 예술 등의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가 생기게 될 것”이라 전망했다.

2019년까지 총 3981억 원 투자 계획

이어 “국민이 한강 변 수상데크(피어데크)에서 산책을 즐기고, 직접 참여해서 만든 창작물을 강변(문화공간이음)에서 전시, 공연하는 것이 먼 미래, 먼 외국만의 일은 아니다. 지금까지 ‘한강의 기적’이 산업화의 성공을 의미했다면 이제 산업과 문화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도전과 성공을 이루어야 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최 부총리는 계획수립을 위해 구성한 한강TF를 계속 가동, 사업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협업체계를 유지하며, 우선 추진할 지역(여의-이촌권역)과 사업(22개)을 선택, 정책역량을 집중한다는 전략을 설명했다. 2019년까지 총 3981억 원을 투자, 약 4천 개의 일자리를 직접 창출하고, 서울 일부 지역에서 쇼핑 위주로 관광을 하던 외국인들이 한강을 매개로 색다른 문화적, 생태적 체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강이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회복하는 가운데 관광·레저 등 서비스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한강의 물길 막고 콘크리트 장막으로 사유화 하는 것은 자연성 훼손"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강은 서울이다. 2천 년 서울역사의 중심에 한강이 있다. 농업화와 산업화, 민주화 혁신의 물결이었다.”고 운을 뗀 후, “그러나 ‘한강의 기적’은 한강의 자연성 훼손이라는 상처도 안겼다. 하천의 자연적 흐름도 홍수방지와 용수 활용에 이용됨으로써 정체를 빚었고, 천만 서울시민 모두가 함께 누릴 공공지에 주거 일변도의 아파트가 콘크리트 장막을 치면서 한강이 사유화됐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한강의 자연성 회복 위해 정부와 서울시가 협업하기로 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이어 “제2의 한강의 기적’은 먼저 한강이 자연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서울시는 정부와 협업을 통해 한강의 잃어버린 자연성 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한강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고 정체된 물길을 살려 천만 시민들이 함께 누릴 수 있는 자연생태의 공간으로 만드는 ‘한강협력계획’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이를 위해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을 국토부의 하천기본계획에 연계· 반영함으로써 한강 자연성 회복 계획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런던 템즈 강, 파리 세느 강처럼 서울의 한강을 관광 자원화 하는 것이 '제2의 한강의 기적"

박 시장은 또, “‘제2의 한강의 기적’은 또한 한강이 관광 자원화가 되는 길이다. 한강에 시민이 모이고 한강을 통해 행복을 만끽하며 세계의 관광객들도 함께 즐기는 세계의 한강이 된다면, 이 또한 ‘제2의 한강의 기적’이 될 것”이며, ‘제2의 한강의 기적’은 생태환경과 경제부흥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고, 이것이 바로 정부와 서울시가 한강을 다시 살리는데 뜻을 함께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와 정부는 사업실행에 필요한 예산을 분담한다. 유지관리비 등을 정부가 지원하고 서울시는 합의된 계획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