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갈등의 전국 시립합창단들 어찌해야 하나?
[기자노트] 갈등의 전국 시립합창단들 어찌해야 하나?
  • 정호연 기자
  • 승인 2018.09.24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음악협회 평가, 조졍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지역합창단들이 중심을 잃고 비틀거리고 있다. 지휘자 없이 공회전하는 단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상임지휘자 결원으로  단원 갈등, 노조 투쟁으로 바람 잘 날이 없다. 현재 성남, 안양, 부산, 창원, 군산시립과 제주, 서귀포도립이 공석이다. 왜 같은 사태가 계속 발생하는 것일까?   지휘자 결원뿐만아니라 갈등의 성격도 다양하다.

전국 시립합창단 문제가 어떻게 정상화될 수  있을까? 쇄신의 바람이 일어나지 않으면 자칫 위기로 치달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현재 합창단에 결원이 생기면 추가로 충원을 하지 않는 곳들이 늘고 있다. 이는 공공합창의 사회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80-90년대와 다름을 반증하는 증표다. 잘못하다간 합창단 해채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도 숨어 있는 것이다.

시민합창, 민간합창, 실버 합창의 트랜드가 어떤 변화를  

▲ 한국을 대표하는 국립합창단은 운영에서도 모범적이다.

이제는 시립합창단 보다 시민합창, 민간합창, 실버합창단의 활성화가 합창의 트랜드로 떠오른지가  오래고 각 자치단체에서도 이들의 지원을 늘리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몇 해 전엔 진주시립합창단이 슬그머니 사라진 것도 그 하나다.

오늘의 합창 상황이 이러한데도 합창단 문제에 누구도 나서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협상은 없고,  반목과 투쟁이 반복된다면  누가 봐도 상처나 피해가 부메랑이 되어 합창단 몫으로 돌아 올 것이 분명하다.

시민들은 무관심하고, 공무원은 자기 일에 바쁘고, 전문성도 부족해 해결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 노조 역시 전문성 아닌 파워로 밀어 붙이면서 합창계의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다.

사실상  6개월, 1년 이상 공백인 단체는 기획 프로그램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는 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객원 지휘자는 ‘손님’ 입장이어서 싫은 소리 하지 않아 안일하고 타성에 젖는 합창단이 되고 만다. 때문에 누가 갈등이 생기면 중재, 조정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합창총연합회’가 있지만 인맥으로 얽혀 있어 객관성이 떨어진다.  대안으로 ‘한국음악협회’가 전국 지부가 있고, 현장의 문제 파악이 용이한 점 등을 들어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지휘자, 작곡가, 평론가가 참여하는 조직을 산하에  전문가 풀을 만들어  조정자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합창 컨트롤 타워의 필요성 제기

시민의 문화 욕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거꾸로 시립합창단들은 파행이라면 이런 뒷걸음치기가 언제까지 가능할까. 음악진흥을 위해 40년 전에 만들어진 공공합창이 방향성을 잃지 않고 바른 길을  찾기 위해서도 합창콘트롤 타워 기능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합창의 미래를 위해서, 건강한 합창 환경을 위해서도  미룰 수 없는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한 대책 마련에 협회가 적극 나설수는 없을까. 협회는 회원의 권인옹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단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