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국의 국악담론]국립창극단이 가야할 길
[김승국의 국악담론]국립창극단이 가야할 길
  • 김승국 노원문화예술회관 관장
  • 승인 2019.04.14 1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승국 노원문화예술회관 관장

국립극장은 1950년 4월에 현 서울시의회 의사당 자리에서 창설되었으나 6.25 전쟁이 발발하여 1952년 대구 문화극장으로 이전하였다가 전쟁이 끝나고 1957년 서울 명동예술극장으로 이전하였다. 그 후 1973년 장충동에 국립극장을 신축 개관하여 발전과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국립극장은 전통에 기반을 둔 3개의 전속단체를 두고 있다. 국립창극단과 국립무용단은 1962년에 창단하였고 국립국악관현악단은 1995년에 창단하였으며 각각 예술감독 책임 하에 예술단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극장은 ‘전통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 ‘예술성 높은 공연작품 제작 및 교육ㆍ전시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예술향수 기회 확대’, 그리고 ‘국내․외 문화예술 교류협력 활성화’라는 3가지 임무가 주어진 국립기관이다. 그리고 그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통에 기반을 둔 공연예술의 국가브랜드화’, ‘맞춤형 교육·전시로 문화향유 기회 확대’, ‘고객접점서비스 강화로 고객만족 극대화’, ‘지속가능 경영기반 합리화’라는 4가지 전략목표를 갖고 운영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립극장의 전속단체들은 전통에 기반을 둔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완성도 높은 동시대적  창작 레퍼토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작품성과 흥행성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아 안정적인 관객을 확보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3개의 전속단체들이 각각 나름대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국립창극단의 활동과 성과가 단연 돋보인다.

특히 얼마 전 임기를 마친 전임 김성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재임 시 쏟아 낸 신작 레퍼토리들은 가히 파격적인 작품들이 많았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화적 기법이 융합된 <적벽가> 등 판소리 5바탕의 현대적 창극화는 물론, <코카서스의 백묵원>, <트로이의 여인들> 등 서양고전의 창극 레퍼토리화 및 우수 영화, 소설 등의 창극화, <춘향이 온다>, <놀보가 온다> 등 마당놀이의 창극화 등은 작품성과 흥행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 관객 몰이에 성공한 작품들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언론에서도 그러한 작품들이 전통문화의 현대화, 세계화에 기여하는 창작 레퍼토리이며 우수한 전통문화를 동시대 관객들이 재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으로서, 국민의 문화향유 경험의 폭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하였었다.

그러나 긍정적인 평가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신작 레퍼토리로 내 놓은 일련의 창극 작품에 ‘창(唱)은 없고 극(劇)만 남았다’는 창극단 내부에 일부 단원들의 불만 섞인 평가가 외부로 흘러 나왔고, ‘창극의 정체성이 많이 훼손된 작품들’이 많았다는 내·외부의 부정적인 평가도 만만치 않았다.

어떠한 평가가 타당한 평가일까?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둘 다 일리가 있는 평가이다.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 및 단체와의 협업, 멀티미디어 및 동시대 기술을 활용을 통한 전통예술의 현대화·대중화와 스토리와 새로운 형식, 동서양의 결합으로 관객 영역의 확장을 지향하는 완성도 높은 작품 개발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분명한 것은 창극의 모태에 해당되는 판소리의 창법과 전형성이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의 창극의 역사는 19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황실에서 설립하였던 최초의 황실극장인 협률사(協律社)에서는 창자(唱者)와 고수(鼓手) 두 사람이 소리를 중심으로 펼치는 음악인 판소리 연행 형태를 벗어나 소리꾼들이 등장인물의 역할을 각각 맡아 대화형식으로 주고받는 대화창인 입체창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당연히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의 판소리의 창법과 전형성은 그대로 유지하였던 것이다. ‘산길을 걷다 길을 잃었을 때는 산꼭대기로 올라가라’는 말이 있다. 산 정상으로 올라가면 가야할 길이 보이기 때문이다. 창극이 가야할 길을 잃었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창극이 시작된 출발점을 되짚어 보면 가야할 방향이 보인다.

얼마 전 김성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의 후임에 유수정 예술감독이 공모 과정을 통하여 취임하였다. 국립창극단이 창설된 이래 소리꾼 출신의 예술감독들도 있었고, 학계 출신의 예술감독들도 있었다.

이번에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유수정 감독은 국립창극단에서 단원으로 수십 년간 잔뼈가 굵은 명창이자 명배우이다. 신임 유 감독만큼 판소리와 국립창극단에 대한 애정이 깊은 분도 흔치 않을 것이다. 오랫동안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전임 예술감독들이 걸어간 길을 지켜보며 국립창극단이 가야할 길에 대해서 많은 고민과 생각을 했을 것이다. 아무쪼록 지난 선배 예술감독들을 능가하는 청출어람의 예술감독이 되어 우리나라 창극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주는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