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유네스코 등재 위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 지우려 안간힘
일본 정부, 유네스코 등재 위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 지우려 안간힘
  • 이지완 기자
  • 승인 2022.01.11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도(佐渡) 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
군함도 문화유산 등재 당시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
전용기 의원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중단 촉구’ 기자회견 가져

[서울문화투데이 이지완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의 사도(佐渡) 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될 어처구니없는 가능성이 열렸다.​ 지난달 28일 일본 정부가 니가타현의 사도(佐渡)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한 것이다. 일본 문화심의회는 2023년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후보추천 기간인 다음달 2월 1일까지 추천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한다.

ㅁ
▲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중단 촉구’ 기자회견 현장 (사진=전용기 의원실 제공)

일본 정부의 후안무치한 태도에 대응해 국회에선 지난 6일 더불어민주당 전용기의원이 발의하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50인이 동참한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단 촉구 결의안’이 발표됐다.

전 의원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정부와 국회는 일본 정부의 추천서 제출을 막는 데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력한 목소리를 냈다. 또한, 과거 일본에 의한 조선인 강제노역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폭넓게 알리는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에 대한 문화유산 등재 시도는 2015년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를 비롯한 근대산업시설 등재에 이어 두 번째다. 2015년 군함도(하시마)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당시, 일본 정부는 “많은 한국인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알리겠다”라고 약속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태껏 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사도 광산은 태평양전쟁 당시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이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2019년에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전시 기간 중 최대 1,200여명의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사실이 기록돼 있으며 이들은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이런 사실을 입증하는 일본 공문서도 최근 공개됐다.

▲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단 촉구 결의안’을 제출하는 전용기 의원  (사진=전용기 의원실 제공)

하지만 일본은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서에 이런 내용은 지우고, 사도광산의 대상기간을 센고쿠시대(1467∼1590년) 말부터 에도시대(1603∼1867년)로 한정했다. 이러한 수법은 군함도를 등재할 당시에도 동일했다. 조선인 강제노역 기간은 제외하고, 대상기간을 1850∼1910년으로 국한했었다. 군함도를 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일제강점기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과 판박이고, 조선인을 강제동원했다는 사실을 숨기려는 꼼수이자 명백한 역사 왜곡 태도다.

전 의원과 50명의 국회의원은 일본 정부에게 ‘1.일본 정부가 2015년 7월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결정 당시 UNESCO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와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를 이행할 것을 요청하며, 강제 노역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 ‘2. 일본 정부가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관련 UNESCO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과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를 성실히 이행하기 전까지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전 의원은 “진실된 역사라는 도도한 강물은 은폐라는 도랑으로주창하다 막을 수 없다”라며 “아무리 교과서를 고치고, 기록을 조작할지라도 진실이 감추어지지는 않는다는 이야기”라며 일본의 만행을 규탄했다.

덧붙여, 한-일 관계가 가뜩이나 악화된 상황에서 사도광산 등재를 둘러싸고 ‘제2의 군함도 사태’가 벌어진다면 양국 관계 개선은 더욱더 멀어질 것이라는 점을 일본 정부는 명심하기 바란다는 엄중한 태도를 취했다.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단 촉구 결의안’ 참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경만, 김남국, 김민기, 김상희, 김승원, 김영배, 김원이, 김정호, 김종민, 김주영, 노웅래, 민병덕, 민형배, 박상혁, 박성준, 박용진, 박정, 박홍근, 서삼석, 서영교, 소병철, 송옥주, 신정훈, 오영환, 윤영덕, 윤재갑, 이개호, 이병훈, 이상헌, 이수진, 이수진, 이용빈, 이용우, 이원택, 임오경, 임종성, 임호선, 장경태, 장철민, 전용기, 정일영, 정춘숙, 정필모, 주철현, 한병도,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홍성국, 홍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