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섭의 비평프리즘] 야투 40년, ‘최소한의 개입’에서 신체성의 의미와 양상Ⅱ
[윤진섭의 비평프리즘] 야투 40년, ‘최소한의 개입’에서 신체성의 의미와 양상Ⅱ
  • 윤진섭 미술평론가
  • 승인 2022.12.27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진섭 미술평론가

<지난 호에 이어서>

산업혁명 이후 석탄 연료 중심의 산업구조는 필연적으로 환경의 파괴를 불러왔다. 여기에 덧붙여 석유산업은 비닐을 비롯하여 각종 합성수지 등 산업제품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낳았다. 어디 그뿐인가? 각종 자동차가 내뿜는 매연은 메탄가스의 남용 등과 함께 오존층의 파괴를 가져왔다.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기후 변화는 남북극의 빙하는 물론 히말라야 등 고산지대의 만년설 등 빙하기 때부터 존재해 온 얼음이 녹아 지구상의 해수면을 높이는 대재앙을 초래했다6). 전 세계 국가들이 화석연료 사용의 비중을 높이자 북극은 다른 지역보다 온난화가 2~3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두께가 3km에 달하는 그린란드의 얼음을 포함, 지구 전체의 빙하가 녹으면 지구 해수면의 높이가 약 7m 상승하는 돌이킬 수 없는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7)

Ⅱ.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야투’의 회원들이 벌이는 행위가 세계사적 문맥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주목해야 할 것은 이들 행위의 대부분이 자연에 대한 외경심의 표현이며, 그 표현은 신체를 통한 ‘최소한의 개입’이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 점이 다다(Dada) 이후 퍼포먼스의 역사를 관류해 온 기존의 다양한 퍼포먼스들과 다른 점이다. 그것도 약속이나 한 듯이 집단적인 형태로 말이다. 서로 닮는다고 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하나의 약속인데, 야투, 즉 사계절연구회 회원들이 그동안 벌여온 행위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연미술8)가들은 자연을 매개로 자연에 동화되는 심리적 동질감을 느끼는 가운데 (자연존중사상) 각자 개성이 있는 예술적 행위를 하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공통적 특징을 보인다. 첫째, 서사(narrative)와 스토리의 배제(반(反)연극성(anti-theatricality), 둘째, 자연물을 통한 간단한 상징과 기호의 제시 및 이를 통한 소통의 의지표출, 셋째, 문명적 물질의 거부(반(反)문명), 넷째, 몸을 통한 행위의 원초성 표출, 다섯째, 주거지에로의 회귀 의지, 여섯째, 자연물을 이용한 최소한의 행위지향, 일곱째, 가공되지 않은 생짜의 자연물을 주재료로 사용 등등이다.”9) 이를 다시 뭉뚱그려 요약하자면 ‘신체를 통한 최소한의 개입’이란 말로 환원된다. 이 경우, 신체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곧 자연에 ‘신체’를 빌려주는 것이 아닐까? 빌려주되, 주체인 ‘나’가 소거된 상태에서 ‘겸손’하게 빌려주는 것이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다음의 진술들을 보자.

임동식 : 線으로 흰색 칠한 나무 두 개를 가져다 산 능선이 V자형을 이룬 곳을 골라 일치되게 지면에 꽂아놓고 나무형을 매개체로 동일한 모양, 그 앞의 전경을 보게 한다.

정길호 : 떨어진 낙엽을 주워 나무에 매달아 준다.

허진권 : 나무 기둥을 중심으로 주변의 낙엽을 긁어모아 놓는다.

여기서 공통적인 사실은 예시된 문장 전체에서 주어가 생략됐다는 점이다.10) 그러면서도 말이 통하는데 ‘3표론’을 주창한 철학자 박동환에 의하면, “주어의 자리에 어떤 정체성도 결정하지 않고 미지의 사태로 남겨두고 기다리는 태도가 지배하는 한국어는, 인간중심주의의 철학 체계를 만들어내기 이전의 사유가 화석으로 남아있는 언어라는 것”11)이다.

이를 참고삼아 정리하자면, 야투 작가들의 작업 기술 방식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목적어+술어

예) 풀잎을 잘라 바위 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주어의 생략)

이러한 문장구조는 주어가 생략되면 비문(非文)이 되는 영미권 언어의 서술방식과 대조적이다.

예) met him(x)

I met him(o)

말하자면 주체(I)가 생략되면 곧 비문이 되는 것이다. 예외가 있다면 명령문의 경우 이다.

예) Go. Eat, etc.

그런데 앞에 든 예문에서 도대체 누가 풀잎을 잘라 바위 위에 가지런히 놓았다는 것인가? ‘나’인가, 영수인가, 아니면 순희인가? 이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정길호의 문장을 예로 들면, “(순희는) 떨어진 낙엽을 주워 나무에 매달아 준다.”는 문장은 사실과 거리가 멀다. 작가 정길호가 순희에게 떨어진 낙엽을 주워 나무에 매달도록 지시할 수도 있지만, 도록에 수록되는 야투의 텍스트 기술 관행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그런 일이 일어날 리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문장 기술에서 주어(나)가 생략돼도 (그 일을 수행하는) ‘나’의 현실과 일치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합리주의 철학자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는 명제는 서구의 인간중심주의 사상을 대변한다. 그러나 같은 의미의 영어 “I think, therefore I am.”에서 주어인 ‘I’를 소거하면, 명령형이 되거나(think), 비문(非文)이 된다(therefore am). 그러나 한국어는 다르다. ‘야투’의 경우 주어가 생략돼도 비문이 되지 않으며, 행위의 주체로서의 ‘나’가 유지되고, 자연 속에 녹아든다. 다시 사계절연구회 회원의 경우를 예를 들어보면, “여러 곳의 나뭇가지에 먹물이 묻은 붓을 줄로 매달에 놓고 바닥에는 흰 종이를 설치한 다음에 바람결에 맡긴다(강희준)”는 기술(記述)이 있다12). 여기서 먹물이 묻은 붓을 줄에 매단 주체는 분명 작가 자신이지만, 문장에는 드러나 있지 않다. 그러나 이 글을 읽는 독자는 문장을 통해 행위의 주체가 작가라는 사실을 안다. 그렇다면 종이에 붓질을 하는 주체도 작가인가? 아니다. 바람인 것이다. 작가(강희준)는 자신의 신체를 자연에 빌려줌으로써(최소한의 개입), 자연이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하도록 ‘맡겼던’ 것이다.

Ⅲ.
지난 40여 년간 야투의 회원들이 보여준 행위는 자연의 야생성을 환기하기 위한 몸짓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이러한 원초적 행위는 초기에는 너무 일러 사람들이 그 의미와 가치를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세계의 저널은 이들의 활동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변방에서 시작한 이 자연미술 운동은 이제 더 이상 비주류가 아니라, 주류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시동을 거는 중이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에는 지구촌을 둘러싼 환경도 한몫을 했다. 앞에서 예로 든 것처럼, 날로 악화되는 지구촌 환경은 자연에 대한 관심을 촉구함은 물론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기 때문이다.


6) 이 문장은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미디어 아티스트 이경호와 필자가 나눈 대화를 요약한 것이다. 북극의 빙하가 녹아 자유의 여신상이 해수에 잠기는 이경호의 미디어 영상작품(데드라인 1.5/Deadline 1.5)은 매우 충격적이다.
7)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지구촌의 우려는 기후협정에 관한 다양한 국제회의를 낳았다.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슬로건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를 비롯하여 1992년의 ‘유엔환경개발회의’(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리우선언, 생태계 보호노력 강화, 환경영향평가제 도입, 생물다양성 협약,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 등등), 1997년 기후변화협약 제3차(일본 교토/교토의정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의무 명기 등), 2015년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1/프랑스 파리), 파리협정, 지구 평균온도 상승 섭씨 2도 목표달성 노력 등등. 2021년 영국 글래스고 기후 합의, 2050년까지 전 세계가 탄소 중립 실현, 1.5도 상승 폭을 유지하자는 합의 도출. 온실가스 주 배출원이자 화석연료를 대표하는 석탄의 단계적 감축 합의 등등
8) 자연미술(Jayeonmisul/Nature Art) : (사) 한국자연미술가협회가 제공한 ‘야투의 연혁과 역사’라는 문건에 의하면 창립 초기에 사용되던 ‘야외현장미술’이라는 용어가 ‘자연미술’로 바뀌게 된 계기는 야투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인 고승현의 제안에 의해서였다고 한다. 따라서 창립 초기의 ‘야투야외현장미술연구회’는 ‘야투자연미술연구회’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야투를 둘러싼 다양한 명칭 변경의 역사적 과정과 내용은 이 문건을 참고할 것. 1983년 야투 회의록, 1월 29일자 참조.
9) 윤진섭, <자연과의 동화(同化)룰 통한 동화(同和) 의지>, 2021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프랑스Ⅲ, 독일Ⅲ, 몽골Ⅱ, 중국, 한국Ⅴ, 도록, 10쪽. 여기에 덧붙여 나는 애써 ‘꾸미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무작위성(無作爲性)을 야투의 특징 중 하나로 들고싶다.
10) 1981년 이후 발행된 ‘야투’의 도록에 실린 작가 노트에는 공교롭게도 모두 주어가 생략돼 있는데, 이는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될 매우 특이한 현상이다.
11) 철학박사 이상수의 글 중에서, <철학을 넘어선 철학자 박동환의 특별한 선집>, 한겨레신문, 2017년 3월 30일자(수정) 네이버 검색, 2022. 12. 5
12) 1884년 ‘야투(野投)’ 야외현장미술연구회 도록, 1984 겨울 공주금강 백사장, 1984 봄 공주산성공원 합본호. 쪽 표기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