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한 Interview] Jong-Il Lee, the President of KIFT
[영/한 Interview] Jong-Il Lee, the President of KIFT
  • 최윤경 인턴기자
  • 승인 2010.07.07 13:5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ature ‧ Human ‧ Theater, all at Keochang

[Seoul Culture Today=Ashley Choi, Intern Reporter] What on earth is theater, that makes a person to sell his house, quit his job, and get on board on a plane to go to a foreign land? If you think this is a joke, here is a man who really did so. President Jong-Il Lee is the person who brought up Keochang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ater (FIFT) as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Theater Festival. Currently, he is having the busiest time, preparing for upcoming <22nd KIFT>, starting at July 30. Despite his full schedule, he was interviewed at his own office at Keochang on July 3.

Stars, Stars and Stars, 10,000 Stars and 100 Plays

KIFT is 22 years old this year. As a person who observed KIFT from the beginning, you must feel deeply in emotion.

We couldn’t hold KIFT last year, due to H1N1 but we’ve had many additional events. That’s why we decided to call this year’s festival as 22nd, despite the fact that we had jumped a year. As a person who ran this event since the beginning, I can see that it’s starting to form certain steps. I would say, we’re on a third step, which means that a steppingstone is formed and now ready to take off. Therefore, quantity and quality of pieces should advance even more. Many theater companies are helping us, but we need more power to be on track. Since KIFT is also greatly related to area development, we need a lot of support from the area.

Until KIFT starts, there’s only three more weeks to go. What are your selection criteria?

This year, we prioritized theater companies who applied last year.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for each piece to contain inner feeling rather than the actual exterior formation. For example, since we are the last race to be a divided country, a theatrical piece can express deep feelings on that aspect. For this festival, we’ve selected pieces that have depth in philosophy.

The theme of 22nd festival is <10,000 Stars and 100 Plays>. Is there a special meaning to it?

A copywriter from Seoul came up with it. As you know, our theater festival is held within the nature. We thought if audiences watch our plays outside, they will see the stars behind the scene. Furthermore, we believe that the actors and the audience are the stars themselves. I chose this copy since number ’10,000’ could make people to give deeper thought to it. But, I guess many people think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views.

Friend-like, KIFT

As a nature-friendly festival, KIFT has many venues out in the nature. Especially this year, I heard that you are showing a play in a cave.

There is an artificial cave that was excavated about 100m long. It was dig to be used as a wine cellar. The owner of that cave suggested that it would be good to watch a play in the cave. This was a good chance for us, since we can extend our venues. Wouldn’t it be perfect to watch a mystery or horror plays? Of course,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electricity and building a stage but I’m determined that we’ll put up a piece there.

I heard you implied the need of internal venues. How are you thinking to use it?

We don’t need huge theaters like they do in Seoul. It would rather be a big burden for us to maintain it. We only need a middle-sized theater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However, a middle-sized theater itself costs a lot of money to afford. In Keochang, we hold festivals for all four seasons but outer venues have limits due to the weather. We really need internal venues to solve our problem. 

Sounds like a good idea. Is that an attempt to get a step closer to the public?

Some theater festivals are controlled by their art director’s way, not theater companies’ way. This happens because the director is too ambitious. I think I will carry out my theater campaign until my last days because it isn’t appropriate to publicize our theatrical culture yet. Before doing that, we must form appropriate environment to vitalize the world of theater. This is why we try to take our festival closer to the audience. We attempt to include popular appeal and at the same time, help our audience to think seriously about theater. Since the intellects came into this world, more public feels the distance between the theater and the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balance both the audience and the level of works.

Sure. Keeping the bala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but still, there are many pieces that failed to do so. Do you think there’s a solution to it?

Actually, our festival never had problem related to the number of audience. However, we will reinforce more scientific and rational planning in the future. But foremost, producing condition should improve. Investors should invest in theater, as well as films. Not many people realize but there are some limits for theater. Therefore, it would be great if the government brings in a realistic system to help it. For example, in France, all registered theater actors, directors and staffs receive monthly living budgets. They are only given 70% of the budget if they are running a play since they can make extra 30% from their own ticket sales. By benchmarking them, I hope we can focus only on creation, rather than worrying about money.

There’s a slogan “Tourism Resourcing, Culture Commercialization”. How much is the Economical Effectiveness of KIFT?  

We requested a service to Kyungnam Development Research to measure our effectiveness. They preceded the experiment based on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s data. The result showed that KIFT has the value of 13 billion won.

Since KIFT’s motive was France Avignon Festival, both are often compared. As a President, what plans do you have?

Eventually, it will come down to using various features that Keochang possesses. At first, I looked at Avignon Festival with grace but now I started to spot the limitations of that festival. Originally, there are 10 big and small venues around Avignon Vatican and during the festival, 100 more venues are added. Not only the audience won’t know which plays are rated good, but also it is impossible to enjoy 500 plays during the festival. Information centers have to many plays to manage.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Edinburgh Festival, since 1000 theater companies attend. However, the reason so many companies attend, despite the fact that audience many not watch their performance is because of the evaluation of reporters. For this reason, the first intention of these festivals crumbles. On the other hand, KIFT wants to be less commercialized and more distil. Later, I want to make a treasure map of different venues such as abandoned quarries, bushes and creaks and let the audience to find their way to enjoy many plays. I want them to find the venues and watch plays that contain social issues. This will lead to KIFT’s differentiation.

Theater is? My food

Before you step into this world, you gave up your job as a teacher and left your family behind to study in Japan.

When I was a teacher, I taught students during the day and practiced theater in the evening. I was associated in many theater clubs but I left Korea to go to Japan because I wanted to study theater in depth. People around me thought I was strange. Now that I think back, I guess it wasn’t an ordinary thing to do. However, at that time, I thought teaching and theater cannot go side by side.

When did you first get interested in theater? 

It’s difficult to give a define answer. In my high school years, I used to go to church. My church was a newly developing church so everything was difficult. Our Minister was young and progressive so my friends and I put up a play once a month to 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bible. The Minister wrote scripts and explained each character to us. Due to that experience, I was naturally interested in theater. When I entered university, I made a theater club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it. 

You must be voluntary and adventurous person. I heard that you are planning to establish Keochang Theater University.

I was thinking about it for a long time. I want to establish pure theater major. Currently, I’m renting an abolished school to run a theater academy but I want to enlarge it to a Theater Specialized University. I want to select very few talented potential directors, actors, writers, designers to let them study for 6 years. Without receiving any tuition fee, I want to run the school in self-sufficient ways. At this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the strong mindset of a real artist.

10 years ago, I read Byung-Jong Kim(Profess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that quotes Yoon-Bum Jung(Professor of Keochang College)’s statement about you as <A man of controversy>. Your passion towards KIFT was interestingly expressed in the writing. What do you feel about KIFT and more broadly, the world of Theater?

This is the question I get the most but the hardest one to answer. In my old days, I used to express my feeling toward theater as a ‘religion’. If I think about it, theater to me is so natural. It’s like consuming food. I gave a lot of thinking to it but KIFT, or even broader, the theater means <food> to me. 

 


 

<한글기사>

[서울문화투데이=인터뷰 이은영 편집국장/ 정리 정지선 기자] 대체 연극이 뭐길래! 연극한다고 집을 팔고, 직업을 버리고, 가족을 남겨두고 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단 말인가. 이런 대책 없는(?) 사람이 정말 있냐고 반문하는 이가 있다면 있다. 거창국제연극제를 명실상부 한국의 대표연극제로 키워낸 장본인, 이종일 집행위원장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오는 7월 30일 22회 거창국제연극제 개막을 앞두고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종일 위원장을 지난 3일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별별별천지, 만별백극!

   

올해로 거창국제연극제가 22살이다. 그 동안 거창국제연극제가 자라오는 과정을 지켜본 사람 중 한 명으로서, 감회가 남다를 듯하다.

작년에 신종플루 여파로 제대로 된 연극제를 열진 못했지만 공연만 안했을 뿐이지, 다양한 부대행사를 가졌다. 그래서 우리는 21회가 아니라 22회라고 말한다. 이정도 오다보니 일종의 마디랄까? 그렇게 본다면 한 3기쯤이랄까. 발판은 구축됐고, 이제는 도약해야하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작품의 양이나 질적인 측면에서 두루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극단들이 도와주고 있지만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힘이 더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의 관심도 요구된다. 지역발전과도 연계돼 있으니 말이다.

이제 연극제 개막까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는데, 선정기준이 무엇인가.

올해는 작년에 신청했던 극단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이제는 나름대로 연극의 양식과 그릇도 중요하지만 내면적인 질감이 더 중요하다. 연극과 축제가 갖고 있는 사회적 기능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분단된 마지막 민족으로서, 연극을 통해 통일문제를 표현할 수 있고, 물질만능주의인 이곳에서 인간 중심의 작품들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반성하게 할 수도 있다. 관객들이 스스로 인간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그런 작품 말이다. 우리는 이번 축제에 말초적인 것보다도 철학적으로 깊이 있는 작품을 선정했다.
올해 연극제 주제가 10,000(만)별 100(백)극이다.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나.

서울의 카피라이터가 만들어줬다. 우리 연극제는 자연과 더불어 진행되지 않나. 자연적으로 연극을 보면서 별도 볼테고, 관객도 배우도 별이라는 의미에서 하나가 돼 공연을 보자는 것이다. ‘만’이라는 숫자가 들어간 슬로건이라 사람들이 좀 더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에 선택했는데, 보는 사람마다 해석은 조금씩 달라지리라 생각한다.(웃음)

‘친구’같은 거창연극제

거창연극제는 자연친화적인 축제로서, 자연 속 야외공연장을 많이 갖고 있다. 특히, 올해 축제에서는 동굴 공연장을 선보인다고 들었다.

한 사람이 복분자 와인을 만들고 저장고로 쓰기위해 인공 굴을 팠는데, 굴의 길이가 약 100m 정도 된다. 주인이 그 안에서 복분자도 소개할 겸 이벤트를 해보면 어떻겠느냐며 제의를 해왔는데, 동굴에 어울리는 추리극이나 공포극 등 으스스한 작품을 선정해 수승대가 아닌 다른 공간에서 올릴 계획이다. 전기시설이나 무대상 구조문제 등 어려움이 있겠지만 올해부터 극을 올릴 예정이다.

   

야외공연장 외에 실내공연장의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들었다. 어떻게 사용할 생각인가.

큰 극장은 지속적으로 관리와 투자가 이뤄져야 하므로, 이곳에는 필요치 않다. 우리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중극장 수준의 극장이 필요한데, 20(30)억이 소요되기 때문에 쉽지 않다. 거창에서는 사계절 모두 축제를 열고 있는데, 야외공연을 하기 위해서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여름에는 야외공연이 좋지만 봄과 가을, 겨울은 실내공연장이 필요하다. 우리는 한계와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실내공연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중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하나의 시도로 보면 되겠는가.

일부 축제들은 극단 위주로 가는 게 아니라 예술감독의 방식으로 이끌어간다. 아마도 나는 죽을 때까지 연극운동을 할 것 같다. 이는 아직까지 연극을 알리고 자랑하는 시기가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나라도 계속 할 수밖에…….(웃음) 연극을 홍보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연극이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 연극제는 관객과 동떨어진 축제를 만들지 않기 위해 대중성을 가미하되, 관객들로 하여금 연극에 대한 생각을 심어주는 역할을 한다. 지식인들이 연극계에 뛰어들면서 연극이 어려워졌고, 관객들도 어려워했다. 관객들과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관객과의 밸런스 유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작품들이 관객과의 소통에 실패한 듯 보인다. 개선방법을 오래 고민해온 한 사람으로서 해답은 찾았나.(웃음)

사실 우리 연극제는 관객이 없어서 쩔쩔매본 경험은 아직 없다.(웃음) 앞으로 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획력이 보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제작여건도 개선돼야 하는데, 투자자들은 영화만이 아니라 연극에도 투자해야 한다. 물론 연극 자체가 갖는 한계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가 나서서 현실적인 제도를 확보해준다면 좋겠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는 오래 전 등록된 연극인이나 연출, 스태프들은 매달 생계유지비를 지급받는다. 또한 200만원을 준다고 하면, 연극을 올릴 경우 70%를 주고, 나머지 30%는 티켓 수입료로 쓰라는 것이다. 우리도 먹고 사는 걱정 없이 창작에만 신경 쓸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관광자원화, 문화사업화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는데, 연극제의 경제 효과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경남발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했다. 삼성경제연구원에서 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해봤더니 약 130억 원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

   

거창국제연극제의 모티브를 프랑스의 아비뇽 축제에서 받아서인지 비교되곤 한다. 집행위원장으로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가.

결국 거창이 갖고 있는 다양한 특징을 활용해야 되지 않겠는가. 처음에는 아비뇽축제를 마냥 황홀하게 바라봤는데, 요즘은 한계점이 보이기 시작했다.(웃음) 아비뇽 교황청 주변으로 크고 작은 극장이 10여개 있는데, 축제 당시에만 100여개가 추가된다. 그러다보니 관객들이 500여개의 공연을 모두 관람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어떤 공연이 좋은지 알 수 없다. 인포메이션 센터가 있지만 양적으로 너무 많다보니 관리가 쉽지 않다. 특히 영국의 에딘버러의 경우 1,000여 개 극단이 참가한다. 그럼에도 많은 극단들이 참여하는 이유는 기자들의 평가가 갖는 메리트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극장의 경우는 자비를 들여서라도 참여하곤 한다. 이런 문제들로 초심이 흔들리고 있다. 우리는 상업화 되지 않은 조금 더 정화된 축제로 발전시키고 싶다. 거창의 버려진 채석장과 숲속, 계곡 등을 활용해 보물지도를 만들어 보물을 찾듯 공연장을 찾아 공연을 보고 사회적 기능을 할 수 있는 연극을 통해 공연의 차별화를 유도하고 싶다.

연극은? 식량이다

교사생활도 접고, 가족은 남겨둔 채 일본으로 건너갔다.

교직에 있을 때, 낮에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방과 후에는 연습을 하곤 했다. 여러 동아리 활동을 하다가 연극에 대해 좀 더 깊은 공부를 하고 싶어 일본으로 건너갔다. 주변에서 의아해했는데, 돌아보니 튀는 행동이긴 했다.(웃음) 그러나 교직, 연극 둘 다 병행하다보면 이도저도 안되겠다 싶었다.

언제부터 연극에 관심을 갖게 되었나.

딱 잘라 말하기 애매하다. 고등학교 때 교회를 다녔는데, 개척교회라서 참 힘들었다. 목사님이 젊고 진보적이었는데, 한 달에 한번 씩 마지막 주일에 설교시간에 연극을 올렸다. 목사님이 대본도 써주고, 등장인물도 설명해줬다. 연극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재미를 느꼈고, 대학에 입학하면서 연극회를 만들고 활동을 시작했다.

자발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인 것 같다. 거창연극대학 설립을 계획 중이라고 들었다.

오래 전부터 생각해왔다. 나는 순수한 연극과를 만들고 싶다. 근처 폐교를 임대해 연극 학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나중에는 연극 사관학교를 만들고 싶다. 다수의 학생을 배출하는 것이 목표가 아닌 소수정예로 연출, 배우, 극작, 조명, 의상 등의 스태프로 6년 동안 공부시키고 싶다. 등록금은 전혀 받지 않고,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자급자족의 방식으로 운영하고 싶다. 연극계가 어렵다고 다른 작종으로 빠지지 않고,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정신교육(?)을 시키고 싶다.

   

10년 전, 서울대 김병종 교수가 쓴 글(니스 칠한 상에서 싹이 트고 돌에서 꽃이 피어나는 기적의 현장)에서 거창전문대 정윤범 교수의 말을 인용해 거창연극제와 ‘문제의 인물’ 이종일위원장에 다룬 글을 읽었다. 거창국제연극제에 대한 이 위원장의 열정을 재미있고, 단적으로 표현해 공감이 갔다. 거창연극제, 나아가 연극은 (당신의 삶에서) 어떤 존재인가.

많이 받는 질문인데도 받을 때마다 어렵다. 옛날에는 감히 ‘종교’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요즘도 가끔 생각하는데, 그냥 밥먹듯이 자연스럽다. 식량이랄까. 나름대로 많이 생각해봤지만 거창연극제 나아가서 연극은 내게 식량과 같은 존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