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행복하십니까?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 박태원(수필가)
  • 승인 2010.07.07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태원
한국은 OECD국가 중 자살율이 1위이다. 그 중 비관에 의한 자살이 47%나 된다.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가 최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2009년 국가경쟁력 순위를 G20 회원국만 선별해 집계한 결과 한국은 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 일본, 중국, 영국에 이어 8위였다. 국가경쟁력이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경제성장 및 삶의 질을 제고하는 국가의 총체적 역량’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우리의 삶이 그만큼 행복할까?

 2010년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지표로 본 한국의 선진화 수준'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24위로 나타났다. 사회 지도층의 솔선수범을 뜻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30위로 꼴찌인 것을 비롯해 정치적 비전(30위), 사회적 안전망(30위), 사회적 대화(29위), 여가(29위), 정치 참여(28위), 약자 보호 제도(28위), 표현의 자유(28위) 등의 항목이 최하위권이었다.

반면 교육기회(3위), 건강(3위), 특허(4위), 기술투자(7위), 인물의 탁월성(9위) 등은 상위권이었으며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감(10위)과 국민적 자신감(11위)도 점수가 높은 편이었다. 민주공화국의 자유주의 정치가 미숙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8년 영국의 신경제학재단(NEF)은 “삶의 만족도와 평균 수명, 생존에 필요한 면적과 에너지 소비량 등의 환경적인 여건” 등을 종합해 178개국의 행복지수 순위를 발표했는데, 한국은 102위에 랭크됐다. 국가의 행복지수는 경제력과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았다.

중국은 31위, 이탈리아가 66위, 독일 81위, 일본 95위, 영국 108위, 캐나다 111위, 프랑스 129위, 미국 150위, 러시아는 최하위권인 172위를 기록했다. 행복 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호주 부근의 작은 섬나라인 바누아투였다. 국민소득이 2,300 달러 밖에 안되는데 삶에 만족을 느끼며 행복하게 살고 있다.

 이러한 지표들을 보면 국가 경제력의 향상이 반드시 국민의 행복만족도를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즘에는 정부와 기업들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문화란 국가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신적 가치 체계의 표현이며 생활 방식이다. 다른 사회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이 있으며 구성원들을 사회적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한다. 국가와 사회의 자주성과 정체성은 문화수준의 척도가 된다.

우리 사회는 개인의 능력은 탁월하지만 지도층의 도덕적 불감증이 불신풍조를 조장하고 있다. 소통과 표현의 자유가 억압당하고 있으며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더불어 사는 사회연대의식이 미비하다. 인간의 심성은 근본적으로 자연친화적일 때 행복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욕망과 피상적인 감각을 자극하는 상업적인 대중문화가 난무할수록 인간존재의 자주성과 정체성을 모색하는 순수문화와 예술의 중요성이 부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