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궁궐 현판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현판Ⅰ’ 발간
5대 궁궐 현판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현판Ⅰ’ 발간
  • 왕지수 기자
  • 승인 2021.03.04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궁궐 현판 398점 조사 결과 수록

[서울문화투데이 왕지수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시대 궁궐에 걸렸던 현판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선왕실의 현판Ⅰ’을 발간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조선왕실의 현판Ⅰ』(사진=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조선왕실의 현판Ⅰ』(사진=문화재청)

조선 시대 궁궐은 국가 운영의 공간이자 왕실의 생활 터전으로 유교 통치 이념과 오행사상, 풍수지리를 반영해 세워졌다. 궁궐의 여러 전각과 당(堂), 문(門), 루(樓) 등의 건물에는 그 성격과 기능에 따라 좋은 글귀를 따서 이름을 짓고 현판으로 만들어 간판과 같은 역할을 했다. 그 밖에도 현판에는 국왕의 선현에 대한 추모, 신하들이나 후손들에게 내린 지침이나 감회를 읊은 시를 비롯해 조선의 국가 이념과 왕실에서 추구했던 가치관이 담긴 글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더불어 현판은 선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 등 왕이 쓴 글씨와 당대 최고 명필가의 글씨를 받아 장인들이 정교하게 새겼고, 화려한 문양과 조각으로 장식했다. 특히 왕과 왕세자의 글과 글씨는 120여 점에 달하는데, 봉황, 칠보, 꽃문양 등을 섬세하게 그린 테두리를 둘러 격을 높였다. 또한, 사롱(紗籠)이라는 직물로 덮거나 여닫이 문을 달아 왕의 글과 글씨로 된 현판을 보호하기도 했다. 이처럼 현판은 건축과 서예, 공예가 접목된 기록물이자 종합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조선왕실의 현판Ⅰ’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복궁 현판 184점, 창덕궁 현판 91점, 창경궁 현판 44점, 경희궁 현판 41점, 덕수궁 현판 25점과 참고도판(13점) 등을 권역별로 세분화해 조사한 정보와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건물을 추적한 결과를 같이 수록했다.

현판(懸板)은 여러 전각과 당(堂), 문(門), 루(樓) 등의 건물에 걸었던 나무판으로, 왕이 내린 지침이나 좋은 글귀, 시(詩), 명구(名句) 등을 양각(陽刻) 또는 음각(陰刻) 등으로 새긴 것이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770점은 지난 2018년에 ‘조선왕조 궁중현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궁궐의 여러 전각이 훼철되면서 철거되어 별도로 모아 관리되었던 것으로, 원래 걸었던 전각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록에서는 현판 뒷면에 원래 걸렸던 위치가 적혀 있는 묵서(墨書)와 <경복궁배치도>, <북궐도형>, <동궐도>, <서궐도안> 등의 도면과 회화, 유리건판, 사진 등의 시각자료를 비교해 본래 현판이 걸려 있었던 궁궐과 건물을 추적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이러한 결과를 궁궐별로 도면에 표시해 현판의 게시 장소를 명확히 했고, 현판에 담긴 다양한 내용을 풀이해 종합적으로 소개,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궁궐 현판 중에서 시기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창덕궁 홍문관에 걸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1652년(효종 3) 이정영(李正英, 1616~1686년)이 쓴 ‘옥당 현판’이며, 가장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은 1904년(광무 6) 덕수궁 화재 이후 제작된 20세기 초 덕수궁에 걸었던 현판들이다.

한편, 1980년 문화재관리국에서 발간한『한국의 고궁』 책자에 수록된 1958년경 사진 자료를 통해, 경복궁 근정전 권역의 융문루(隆文樓), 융무루(隆武樓) 같은 현판들이 원래 걸려 있던 위치를 파악했다. 

‘양화당(養和堂) · 대은원(戴恩院) 현판’과 같이 현판을 만들 때 양각(돋움새김, 凸)이나 음각(오목새김, 凹)뿐만 아니라 금박을 붙이거나 나무 등으로 글자를 별도로 만들어 부착하는 제작 방식을 의궤기록과 실물 현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덕수궁의 정문이었던 ‘인화문(仁化門)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모습을 독일의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1902년 촬영된 새로운 사진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 

창덕궁의 ‘대은원 중수 내용을 새긴 현판’은 내관이 글을 짓고 쓰기도 한 매우 희귀한 사례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에 발간한 소장품 도록을 국공립 도서관과 박물관 등에 배포하고, 더 많은 국민이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과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www.gogung.go.kr)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조선왕실의 현판Ⅰ’의 발간으로 궁궐의 온전한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현판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