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등 조선시대 문화재 4건 보물 지정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등 조선시대 문화재 4건 보물 지정
  • 임동현 기자
  • 승인 2018.10.04 18: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물 제2000호 등록,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등 지정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등 조선시대 회화와 불교 조각, 서책 등 4건이 보물로 지정됐다. 특히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는 보물 제2000호로 등록되어 보물 2000호를 넘어섰다. 

문화재청은 4일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등 4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사진제공=문화재청)

보물 제1998호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7세기 중엽 전라‧경상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총 9명의 조각승이 공동으로 참여해 1665년(현종 6년)에 완성한 작품이며 가운데 석가모니불상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 1구의 보살상으로 구성된 삼존(三尊) 형식이다.

삼존의 보존 상태와 구성 등이 조성 당시의 모습을 거의 완전하게 갖추고 있으며, 복장(불상의 배 안에 사리와 불경을 넣는 일 또는 그 사리와 불경) 유물 역시 안치 당시의 모습에서 크게 훼손되지 않고 발견되어 불상 조성과 17세기 복장법식 연구에도 귀중한 정보가 된다.

또 건장한 신체 표현과 통통하게 살이 오른 어린아이 같은 얼굴 등 희장이 참여한 불상조각의 특징을 엿볼 수 있으며, 제작연대와 제작자, 봉안처 등 조성 과정에 대한 학술 정보를 잘 구비하고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물 제1999호 '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높이 2m 이상의 대형 불상조각으로, 17세기에 가장 비중 있게 활동한 조각승인 현진(玄眞)의 작품이다. 

좌상의 아미타불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을 배치했는데 좌상과 입상이 삼존에 모두 등장한 것은 이 시기 삼존상으로는 드문 구성이다. 

이 불상은 온화한 얼굴과 무게감 있는 신체 표현 등 현진의 개성을 잘 보여주며, 17세기 전반 목조 불상 중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는 작품이다.

또한, 조각가, 제작 연대, 봉안사찰과 전각 등에 대한 온전한 내력을 갖추고 있고, 현진이 제작한 불상 중 유일하게 좌상과 입상으로 구성된 작품이라는 점, 시대적 조형감각이 잘 표현되어 있어 예술적․학술적 가치 등 모든 면에서 17세기를 대표하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사진제공=문화재청)

보물 제2000호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는 김홍도가 57세 때인 1801년(순조 1년)에 그린 8폭 병풍 그림으로, 1801년 순조의 천연두 완쾌를 기념하여 만든 4점의 병풍 중 한 점이다.

경물을 옆으로 비스듬하게 배치한 사선 구도를 활용해 역동감을 주었고, 강을 앞에 두고 산자락에 자리한 큰 기와집과 논밭, 손님치레 중인 주인장, 심부름하는 여인, 일하는 농부, 낚시꾼 등 여러 요소를 짜임새 있게 그려 넣어 전원생활의 한가로움과 정취를 표현하였다. 

소박하고 꾸밈없는 인물들의 모습, 실물 그대로를 묘사한 듯한 화풍이 돋보이며, 오랜 작품 생활을 통해 숙련된 자유분방한 필치로 화면 전체의 완성도를 높여 준다.

이 그림은 중국 고전에 기초해 김홍도 나름으로 조선 백성들의 생활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김홍도 말년의 창작활동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인물, 산수 등 여러 분야에 두루 뛰어났던 그의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역작이다.

보물 제1281-6호 <자치통감 권129~132>는 1436년(세종 18년)에 간행한 <자치통감>의 판본 가운데 권129~132에 해당하는 책이다. 처음 간행 당시에는 금속활자인‘초주갑인자’로 찍어 총 294권 100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편찬했으나, 이때 인출(印出, 책을 찍어냄)한 책은 아직 전체 권수가 실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 책에 속한 권129와 권130은 처음 확인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자치통감>의 전체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 인쇄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