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인식 예술세계, 대구에서 밝히다
곽인식 예술세계, 대구에서 밝히다
  • 김지현 기자
  • 승인 2019.10.14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미술관,국현 순회전 ‘탄생 100주년 기념: 곽인식’을 개최

대구미술관은 오는 15일부터 12월 22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순회전 ‘탄생 100주년 기념: 곽인식’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구 출신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는 곽인식(1919~1988)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개최되는 전시다.

지난 9월 15일까지 개최된 국립현대미술관의 ‘탄생 100주년 기념: 곽인식’ 전시의 순회전이다. 국공립미술관 협력 망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2019년 공립미술관 순회전시’인 이번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에 이어 작가의 고향인 대구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대규모 회고전이다.

곽인식은 일본 미술에서 물질의 논의가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물성(物性)을 탐구했던 작가이다. 1937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미술계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선구적인 작업세계를 전개했음에도 그간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인물(남), 1937, 캔버스에 유채, 91x7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도판=국립현대미술관)

대규모 회고전인 이번 전시는 국내 및 일본에 소장돼 있는 작품 200여 점과 자료 100여 점을 선보이다. 동시에 곽인식 예술의 업적을 기리고, 그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전시는 곽인식의 작품세계를 193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말까지 세 시기로 나누어 조망한다. 첫 번째 ‘현실 인식과 모색(1937년~1950년대 말)’은 곽인식의 초기작 <인물(남)>(1937)ㆍ<모던걸>(1939)ㆍ<긴머리 소녀>(1946)와 패전 후 일본의 불안한 현실을 반영한 초현실주의 경향의 <작품 1955>(1955) 등을 소개한다.

두 번째 ‘균열과 봉합(1960년대~1975년)’은 곽인식이 본격적으로 사물의 물성을 탐구한 다양한 작품들을 전시한다. 작가는 원색의 물감에 석고를 발라 두터운 질감을 표현한 모노크롬 회화로부터 캔버스에 바둑알ㆍ철사ㆍ유리병ㆍ전구 등과 같은 오브제를 부착해 작업했다. 이후에는 유리ㆍ놋쇠ㆍ철ㆍ종이 등 재료 자체에 주목한 작업을 전개했다.

▲작품 63, 1963, 유리, 72x100.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도판=국립현대미술관)

특히 곽인식 작품 행위의 분수령이 된 깨뜨린 유리를 붙여 지울 수 없는 흔적을 제시한 작품들(1961-63년)을 집중 선보인다. 이 작업은 좌우익 대립과 분단이란 시대적 난관을 ‘균열’로 인식하고 ‘봉합’으로 극복하려는 작가의 태도와 의지를 반영한다. 1969년에는 종이를 ‘원’의 형태로 조심스레 자른 작업은 종이의 ‘원’은 평면이나 조각이 아닌 물질 자체로 제시된다.

세 번째 ‘사물에서 표면으로(1976-1988년)’에선 돌ㆍ도기ㆍ나무ㆍ종이에 먹을 활용한 작업을 소개한다. 1976년 이후 작가는 강에서 가져온 돌을 쪼개어 다시 자연석과 붙이거나 손자국을 남긴 점토를 만들고, 나무를 태워 만든 먹을 다시 나무 표면에 칠하는 등 인간의 행위와 자연물을 합치하려는 시도를 했다. 후기에는 붓으로 종이에 무수히 많은 색점을 찍어 종이 표면 위에 공간감을 형성한다. 전시와 연계한 작가들의 인터뷰 영상을 통해 곽인식 작품에 대한 평가와 한국미술계와의 연관성을 보여줄 예정이다. 곽인식의 조수였던 우에다 유조(갤러리 Q 대표)ㆍ후배 작가인 최재은을 비롯하여 박서보ㆍ김구림ㆍ 곽훈ㆍ 김복영 등 평론가의 영상을 선보인다.

▲작품80-M, 1980, 종이에 채색, 127×376cm, 대구미술관 소장(도판= 대구미술관)

대구미술관 최은주 관장은 “작가는 생전에 대구미술계와의 교류와 대구에서의 전시를 열망했다. 작가가 한평생을 추구하며 얻었던 결과의 깊은 뜻이 이번 대규모 회고전을 계기로 미술계와 후학들에게 소중한 자양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곽인식(郭仁植, 1919~1988) 주요 연혁

곽인식은 1919년 경북 달성군에서 출생, 1937년 도일해, 일본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42년 귀국 후 대구에서 첫 개인전을 개최하고 1949년에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개인전 50여 회를 갖는 등 작품 활동에 몰두했다.

곽 작가는 유리ㆍ놋쇠ㆍ종이 등 다양한 소재를 실험하며 시대를 앞서 간 작업을 보여줬다. 현대미술의 ‘물성(物性)’과 관련하여 서구에서는 1960년대 후반 ‘아르테 포베라’가, 일본에서는 1970년대 ‘모노하(物波)’가 국제적인 흐름에 조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곽인식 작품은 이를 훨씬 앞선 것이다.

곽인식은 1960년대 초반부터 사물과 자연의 근원적 형태인 ‘점ㆍ선ㆍ원’에 주목하여 물질을 탐구했으며 1970년대 모노하를 견인한 작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