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학의 바이 더 웨이, 디지털!]디지털시대, 변화의 문화현장 ⓯ 빅테크와 동행하는 예술
[김정학의 바이 더 웨이, 디지털!]디지털시대, 변화의 문화현장 ⓯ 빅테크와 동행하는 예술
  • 김정학 대구교육박물관장
  • 승인 2022.07.13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학 1959년생. 영남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20년 동안 한국과 미국 등에서 방송사 프로듀서를 지냈으며, 국악방송 제작부장 겸 한류정보센터장, 구미시문화예술회관장 등을 거쳤다. 현재 대구교육박물관장으로 재직 중. 지은 책으로 『박물관에서 무릎을 치다』등이 있다

나: 요즘 그 쪽 화제는 뭐지?

남: ‘빅테크의 좌절’이 주된 테마 같은데요?

나: 아, 빅테크의 좌절? 그게 문화예술에 서로 영향을 미치나? 보통 뉴스에선 돈 얘기들 밖에 안하니…

남: 글쎄요. 자기들만의 유토피아를 건설하겠다며 지난 2년간 문화 쪽 기업들도 다 집어먹더니, 이제 탈이 나서 다 뱉어내는 꼴이란…

나: 예를 들자면?

남: 구글이 ‘구글 아츠앤컬쳐(GAC)’란 프로젝트를 하고 있잖아요. 구글맵스처럼 문화예술의 역사를 DB화시키는 건데, 정작 아티스트는 득을 못보고 기업형 갤러리들과 짝짜꿍하는 거라… 넷플릭스도 처음엔 한국 예능계 인사들 엄청나게 빨아들였다가 이제 주춤하니 뱉어내는 거지요.

나: 아. 그렇게들 보는 건가?

남: 공중파나 케이블TV 엿 먹이고 넷플릭스로 갈아탄 스탭들은 요즘 잠을 못 잘걸요? 이제 다시 되돌아가야 하니… 뭐 어쨌든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무시하는 게 빅테크의 문화예술 접근법인데… 기업들이 한국 와선 깽판 치고 돈이 안 되면 유유히 떠나는 것과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보면 될 것 같네요.

오늘은 이런 대화의 끝에 드는 착착함에서부터 시작해보면 좋겠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구글 아트프로젝트 디렉터 아밋 수드(Amit Sood)는 “60개 나라 700여 개 미술관 박물관 유적지 공간과 전시물 이미지를 편리하고 생생하게 관람할 수 있게 됐다. 한국 문화유산의 고해상도 이미지 1500여 건을 추가해서, 총 1만3천5백여 건의 한국 문화유산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70억 개의 화소로 이뤄져 눈으로 직접 작품을 볼 때 감지할 수 없는 세부까지 보여준다는 ‘기가픽셀’ 이미지는 2011년부터 시작된 아트프로젝트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당시 취재기자들은 ‘이미지 화소를 아무리 늘려도 재료의 질감이나 붓 터치의 깊이를 전할 수는 없고, 디스플레이를 업그레이드한들 그저 쓸모 있는 ‘맛보기 도구’일 뿐이며, 또한 저작권에 관해서는 좀 더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경계성 기사를 썼다. 2015년 5월의 일이다.

문화예술이 빅 테크놀로지와 계속 통합됨에 따라, 특별히 생각해 둘 것은 빅 테크들이 ‘무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우리는 우리의 행동을 추적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유저데이터를 제공한다. 정보는 부와 권력의 중앙집중화와 함께 성장하므로, 예술과 문화에서도 그러지 말란 법이 없다는 사실, 그걸 우려하는 것이다. 애플, 구글, 넷플릭스 및 페이스북과 같은 테크 자이언트들이 창의적인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글로벌 접근성을 제공하면서도 비판받는 이유는 트래픽을 유도하면서 리얼뮤지엄과 경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콘텐츠를 개발하고 새로운 마케팅 방법을 끊임없이 찾고 있지만, 예술가들이 항상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또 이러한 플랫폼에서 콘텐츠 공유에 참여하는 기관들의 컬렉션을 보다 쉽게 찾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맙긴 하지만, GAC에 참여하는 것이 예술가, 미술관 등이 누릴 수 있는 최선의 이익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왼편에서부터) GAC 디렉터 아밋 수드, GAC 로고, 문명비평가 윌리엄 데레저위츠, 캐나다예술위원회(CCA) 로고, 캐나다 테크놀로지 칼럼니스트 나브닛 알랭 (사진=김정학 제공)
▲(왼편에서부터) GAC 디렉터 아밋 수드, GAC 로고, 문명비평가 윌리엄 데레저위츠, 캐나다예술위원회(CCA) 로고, 캐나다 테크놀로지 칼럼니스트 나브닛 알랭 (사진=김정학 제공)

오죽했으면 예일대 교수를 지낸 문화비평가 윌리엄 데레저위츠(William Deresiewicz) 같은 이는 ‘디지털은 예술의 실제 화폐가치를 잃어버리지 않았다. 예술가가 아닌 누군가는 계속 돈을 벌고 있다. 테크 자이언트들이 매년 수백억 달러에 달하는 방대한 부(富)를 지속적으로 챙겨가고 있을 뿐!’이라고 단언했을까. 예술과 문화의 진화를 지켜보고, 분석하고, 반성하는 위치에서 언제나 새로운 시각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술가들이 빅테크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그들의 독립성을 위태롭게 한다. 그러나 우리는 창의적인 콘텐츠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기술적 발전을 보고 싶지만, 쉽지 않은 까닭은 예술가가 배제되는 법 없이 성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놀랍게도 대부분의 캐나다의 문화기관은 다행히도 GAC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2천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에 캐나다는 30개 정도만 참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현대 캐나다 미술의 이미지를 제공한 미술관은 극소수이다. 캐나다예술은행 등이 나서서 예술가들과 상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등, 새로운 예술공유에 관한 공공 컬렉션의 실험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기술은 우리에게 중립적 통로가 아니다. 오히려 선택에 따라 심오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캐나다 테크놀로지 칼럼니스트 나브닛 알랭(Navneet Alang)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디지털 시대는 숱한 역사적 변곡점을 만들었다. 디지털기술은 유토피아의 약속이기도 하지만, 탐욕과 편견의 유산이라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면서, ‘유명 영화감독들이 미장센(Mise-en-Scène)을 위해 ‘빛을 다루는 법’을 다시 배우고 있는 것처럼, 디지털 기술도 새로운 방식으로 시선을 끄는 법을 배워야 한다. 정직한 방식으로, 편견을 발견하고, 그걸 없애는 노력까지로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새겨둘 만하지 않은가.

우리는 종종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테크놀로지를 생각한다. 하지만 디지털시대의 기술은 우리를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몰아간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많다. 어쩌면 우리는 저작권을 알리면서, 예술가들을 최대한 보호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면서, 지고의 예술작품을 감상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빅테크(Big Tech): 테크 자이언츠를 가리키는 말로, 가파(GAFA, Google, Amazon, Facebook, Apple), 빅 포 또는 빅 파이브로도 알려진 빅테크(Big Tech)는 미국 정보 기술 산업에서 가장 크고 지배적인 다섯 기업으로, 즉 구글,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