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중박, 최근 미술사학 연구 담은 『미술자료』 103호 발간
국중박, 최근 미술사학 연구 담은 『미술자료』 103호 발간
  • 이지완 기자
  • 승인 2023.06.28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목 초상’, ‘정선 진경산수화’ 다룬 논문 등
『미술자료』 국중박 누리집서 다운로드 가능

[서울문화투데이 이지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의 정기 학술지 『미술자료』 제103호가 발간됐다. 『미술자료』는 1960년 8월에 창간된 국내 최초의 미술사 전문 학술지로서, 20여 년 간 미술사학계의 발전과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이명기가 모사한 허목 초상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명기가 모사한 허목 초상 (사진=문화재청 제공)

지난 6월 20일 발간된 『미술자료』 제103호에는 논문 2편과 자료 1편이 수록됐다. 「명신(名臣)에서 근신(近臣)으로 – 1794년에 다시 모사된 허목(許穆) 초상」, 「식민지 시기 정선 회화의 담론 형성과 수집」논문 2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분청사기 묘지(墓誌)」 자료 1편이다.

먼저 민길홍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사가 작성한「명신(名臣)에서 근신(近臣)으로 – 1794년에 다시 모사된 허목(許穆) 초상」에서는 1676년에 제작된 <허목 82세 초상>이 1794년에 재생산되는 과정을 살펴보며 그 중층적 의미를 조명했다. 필자는 1794년 정조의 명으로 은거당에 봉안된 허목 초상 원본이 이명기에 의해 모사됐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도 2), 첩장본으로 다시 모사된 본, 미천서원 봉안본, 미강서원 봉안본, 종손가에 소장된 반신상 총 5점이 당시에 모사된 것으로 봤다. 이어 허목 초상의 모사가 전통적인 초상화 모사 맥락을 넘어, 정조가 근신을 관리하고 체재공 등의 남인이 세력을 결집했던 정치적 의미가 있었음을 밝혔다.

▲정선의 하경 산수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경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작성한 「식민지 시기 정선 회화의 담론 형성과 수집」은 정선이 진경산수화를 창안하고 한국문화의 독자성과 정체성을 대변하는 화가로 인정받고 있음에 주목해, 정선에 대한 이러한 인식의 형성과 정선 회화의 수집 과정을 살펴봤다. 필자는 20세기 전반에 정선에 대한 근대적 서술 및 담론이 형성됐음을 조명하고 이왕가박물관과 조선총독부박물관 및 박영철, 전형필, 와다 타츠(和田タツ) 등이 정선 회화를 수집했던 양상을 분석했다. 이 글은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의미를 부여하고 민족의 문화적 역량을 확인하고자 했던 미술사적 서술과 수집 양상이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 기인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자료는 서유리, 허문행(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이 공동 집필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분청사기 묘지(墓誌)」 로, 이건희 기증 유물 중 <분청사기 ‘정통 십삼년(正統十三年)’명 묘지일괄> 등 조선 15세기 중반에 제작된 분청사기 묘지 4건의 특징과 내용 및 묘지들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소개했다.

『미술자료』는 KCI 등재 학술지로서, 매년 3월과 9월에 원고를 모집해 6월, 12월에 두 차례 발간된다. 『미술자료』의 모든 논문과 목차는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의 ‘학술·출판 > 정기간행물 > 미술자료’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